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분기 회고
- 항해 플러스 프론트엔드
- 프론트엔드
- React
- wil
- 자바스크립트
- 항해
- frontend
- 테스트 코드
- GPU
- 개발자
- 보안
- webGPU
- 항해플러스
- 개발공부
- 회고
- React Query
- 홋카이도
- 독서 리뷰
- 성능최적화
- 성장일지
- typescript
- naver
- 항해99
- 백준
- 개발 공부
- FE
- rust
- 단위 테스트의 기술
- 항해 플러스
- Today
- Total
목록typescript (2)
느릿늘있

이번에는 이펙티브 타입스크립트 4장에 나오는 " 포스텔의 법칙 IN TypeScript"라는 주제를 제 나름의 방식대로 해석하고 정리한 내용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본 내용은 항해 플러스 프론트엔드 3기 토요 지식회에 발표했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라는 책을 읽으면서 개발이라는 게 그냥 기능만 구현하는 것 너머에 이런 철학적인 바탕이 있을 수 있구나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와중에 를 읽게 되었고 책에 나오는 이 29번 Item이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 그러한 철학 중 하나라고 느껴졌고 이에 매력을 느껴 깊게 공부해보게 되었습니다. 견고성의 원칙이라고도 불리는 포스텔의 법칙은 TCP 초기 모델을 구축한 Jon Postel이 남긴 말입니다. 자유도가 아주 높은 인터넷이라는 환경에서 견..

타입스크립트를 공부하면서 오버로딩이 조금 특이하게 동작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아서 정리 겸 공유를 위해 기록을 남겨본다. 우선, 자바스크립트는 함수의 매개변수와 리턴타입에 관대하기 때문에 오버로딩이 필요가 없다. function a (arg) { return arg }//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a(true, 1) // truea("12", 123, true) // "12"a() // undefined 타입스크립트에서 타입을 설정하지 않으면 자바스크립트와 동일하게 동작할까?function a (arg){ console.log(arg) console.log(typeof(arg))}// 매개변수 갯수에 대해 엄격하게 체크한다.a(1, '2') // error : Expected 1 arg, bu..